파이썬 내장함수 소개
파이썬은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함수가 존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 내장함수에 대해서 소개하고, 각각의 함수가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print()
print()
함수는 파이썬에서 가장 기본적인 출력 함수이다. 괄호 안에 있는 값을 화면에 출력해준다. 문자열, 숫자와 같은 값을 출력할 수 있고, 여러 개의 값을 쉼표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python
print("Hello, World!") # Hello, World! 출력
print(1 + 2 + 3 + 4 + 5) # 15 출력
print("My age is", 20) # My age is 20 출력
len()
len()
함수는 문자열, 리스트, 튜플과 같은 시퀀스 자료형의 길이(요소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python
s = "Hello, World!"
lst = [1, 2, 3, 4, 5]
t = (1, 2, 3, 4, 5)
print(len(s)) # 13 출력
print(len(lst)) # 5 출력
print(len(t)) # 5 출력
sorted()
sorted()
함수는 리스트, 튜플과 같은 시퀀스 자료형을 정렬하는 함수이다. sorted()
함수는 정렬된 결과를 새로운 리스트로 반환해준다.
python
lst = [3, 1, 5, 2, 4]
s_lst = sorted(lst)
print(s_lst) # [1, 2, 3, 4, 5] 출력
range()
range()
함수는 정수 범위를 생성하는 함수이다. range(stop)
는 0부터 stop-1까지의 정수 범위를, range(start, stop)
은 start부터 stop-1까지의 정수 범위를 생성한다. range(start, stop, step)
은 start부터 stop-1까지, step만큼 간격을 두고 정수 범위를 생성한다.
python
r1 = range(5)
r2 = range(1, 6)
r3 = range(1, 6, 2)
print(list(r1)) # [0, 1, 2, 3, 4] 출력
print(list(r2)) # [1, 2, 3, 4, 5] 출력
print(list(r3)) # [1, 3, 5] 출력
max()
와 min()
max()
와 min()
함수는 시퀀스 자료형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python
lst = [3, 1, 5, 2, 4]
print(max(lst)) # 5 출력
print(min(lst)) # 1 출력
abs()
abs()
함수는 주어진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python
print(abs(5)) # 5 출력
print(abs(-5)) # 5 출력
sum()
sum()
함수는 리스트, 튜플과 같은 시퀀스 자료형의 합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python
lst = [1, 2, 3, 4, 5]
print(sum(lst)) # 15 출력
type()
type()
함수는 변수나 객체의 자료형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python
x = 5
s = "Hello, World!"
lst = [1, 2, 3, 4, 5]
print(type(x)) # <class 'int'> 출력
print(type(s)) # <class 'str'> 출력
print(type(lst)) # <class 'list'> 출력
파이썬 내장함수는 이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부 함수만을 소개하였다.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내장함수들을 숙지하면, 좀 더 편리하고 빠르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프레스란? (0) | 2023.06.14 |
---|---|
파이썬 내장함수를 사용한 예제 5가지 (0) | 2023.06.14 |
AI 시대에 떠오를 직업 목록 10가지 (0) | 2023.06.13 |
AI 시대에 대비하여 알아둬야 할 필수 지식 (0) | 2023.06.13 |
웹 개발과 관련된 브라우저의 기능 (0) | 2023.06.13 |